본문 바로가기
행정학의 이론과 실제

정책결정모형 이론과 구성요소

by john0001 2023. 7. 14.
반응형

정책결정모형 이론과 구성요소

정책결정모형은 정부와 관련된 결정 과정을 분석하고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적인 틀을 말합니다. 이 모형들은 정부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다양한 정책결정모형이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대표적인 세 가지 모형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정책결정모형

 

1. 이기적인 정치인 모형 (Self-Interested Politician Model):

 

이 모형은 정치인이 이기적인 행동을 한다고 가정하고 정책 결정을 설명합니다. 이 모형에서는 정치인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하며, 이를 위해 유권자의 선호나 정책의 효과보다는 다른 요인들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모형은 정치인의 이기적인 행동을 바탕으로 정책 결과를 예측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권자 선호:

정치인은 유권자들의 선호를 파악하고 이를 고려하여 정책을 결정합니다. 그러나 이 모형에서는 정치인이 유권자의 선호를 완전히 따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치인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유권자의 선호와는 상반되는 정책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2) 이기적인 동기:

정치인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행동합니다. 이기적인 동기로는 권력 유지, 정치적 지위 향상, 재선을 위한 인기 조작 등이 있습니다. 정치인은 이러한 동기를 바탕으로 정책 결정을 수행하며, 자신의 이익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합니다.

 

3) 이해관계자와의 상호작용:

정치인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정책 결정을 수행합니다. 이해관계자로는 정당, 이익 그룹, 기업, 정부 기관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정치인은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상, 타협, 압력 등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고, 이를 반영한 정책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4) 정보와 리소스 활용:

정치인은 다양한 정보와 리소스를 활용하여 정책 결정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정치인은 정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정보와 리소스의 활용은 정치인의 이기적인 행동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2. 공공선택 이론 (Public Choice Theory):

공공선택 이론은 개인이 경제적인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투표 및 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방식을 분석합니다. 이 이론은 개인들이 정치적인 환경에서 이기적인 결정을 내리는 경향을 설명하며, 정부의 정책 결정이 개인의 이익을 반영한다고 가정합니다.

 

공공선택 이론은 정책결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이기적인 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개인 및 정부의 이익을 균형시키는 방향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 주요 구성요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기적인 행동 (Self-Interested Behavior):

공공선택 이론은 개인들이 이기적인 행동을 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합니다. 개인들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투표 및 정책 결정에 참여하며, 이를 바탕으로 행동합니다. 이기적인 행동은 개인의 경제적인 이익을 중시하는 결정을 내리는데 영향을 미칩니다.

 

2) 투표 및 참여 (Voting and Participation):

공공선택 이론은 개인들이 투표 및 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방식을 분석합니다. 개인들은 자신의 이익을 고려하여 투표를 하거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들은 정치적인 환경에서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합니다.

 

3) 이용자 수익 (User Benefits):

개인들은 정부의 정책 결정에 따라 이용자로부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용자 수익은 정부가 제공하는 서비스, 혜택, 보호 등을 통해 개인들이 받는 이익을 의미합니다. 이용자 수익은 개인들의 투표 및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동기 중 하나입니다.

 

4) 비용과 제약 (Costs and Constraints):

개인들은 투표 및 참여를 위해 비용과 제약을 감수해야 합니다. 이 비용과 제약은 시간, 노력, 정보 수집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개인들은 이러한 비용과 제약을 고려하여 투표 및 정책 결정에 참여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5) 효율성과 평형 (Efficiency and Equilibrium):

공공선택 이론은 개인들의 이기적인 행동이 경제적인 효율성과 균형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합니다. 개인들의 이기적인 행동은 시장과 정치적인 프로세스에서 효율적인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론은 개인들의 이기적인 행동이 시장의 경제적 균형을 통해 사회적 효율성을 달성하려는 경향을 분석합니다.

 

3. 제도주의적 접근 (Institutional Approach):

제도주의적 접근은 정책 결정을 제도적인 측면에서 분석합니다. 이 모형은 정부의 제도와 규칙이 정책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제도주의적 접근은 제도적인 구조가 정부와 정치인의 행동을 제약하고 동시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이 모형은 정책결정 프로세스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제도적 변화가 정책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제도주의적 접근에서는 정부의 제도와 규칙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부의 제도는 정책 결정의 근간이 되며, 정부의 행동과 프로세스를 조정하고 제약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제도들은 행정적, 법적, 정치적인 면에서 정부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 구성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부와 제도:

제도주의적 접근에서는 정부의 제도와 규칙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부의 제도는 정책 결정의 근간이 되며, 정부의 행동과 프로세스를 조정하고 제약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제도들은 행정적, 법적, 정치적인 면에서 정부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2) 제도적 변화:

제도주의적 접근은 제도적인 변화가 정책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제도적 변화는 정부의 제도와 규칙이 변화하거나 새로운 제도가 도입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에 영향을 주며, 정치인의 행동과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3) 이해관계자와 상호작용:

제도주의적 접근은 이해관계자들 간의 상호작용과 영향력을 강조합니다. 이해관계자로는 정치인, 정부 기관, 이익 그룹, 시민 사회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제도주의적 접근은 이해관계자들이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과 이를 통해 정부의 행동과 결정이 제약되는 방식을 분석합니다.

 

4) 경제적 균형과 효율성:

제도주의적 접근은 경제적 균형과 효율성을 중요시합니다. 이 이론은 정부의 제도와 규칙이 경제적인 효율성을 달성하려는 경향을 분석하며, 정부의 정책 결정이 사회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