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과정, 정책 창조 이론과 정책 변화 이론
정책과정의 대표적인 이론 가운데 정책 창조 이론과 정책 변화 이론에 대해서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1. 정책 창조 이론 (Policy Entrepreneurship Theory):
정책 창조 이론 (Policy Entrepreneurship Theory): 1970년대와 1980년대에 John W. Kingdon, Peter A. Hall, Michael Mintrom 등의 연구를 통해 발전되었습니다
정책 창조 이론은 정책과정에서 개인이나 그룹이 새로운 정책을 창조하고 채택하는 역할을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이론은 정책 창조자가 정책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홍보하며 정책 제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구합니다. 이론은 정부 외부의 개인이나 단체가 정책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역할을 강조합니다.
정책 창조 이론은 정책과정에서 개인이나 그룹이 새로운 정책을 창조하고 채택하는 역할을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개인이나 단체가 정책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역할을 탐구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정책 제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합니다.
정책 창조 이론은 다음과 같은 주요 개념과 원리를 강조합니다:
1) 정책 창조자 (Policy Entrepreneur):
정책 창조자는 새로운 정책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정책 과정에 적용하며, 이를 통해 정책 변화를 이끄는 개인이나 그룹을 의미합니다. 정책 창조자는 문제를 인식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제안하며, 다른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고 조정하여 정책 변화를 주도합니다.
2) 정책 창조 과정 (Policy Entrepreneurship Process):
정책 창조 과정은 정책 창조자가 새로운 정책을 개발하고 채택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이 과정은 문제 인식, 정책 아이디어 발굴, 이해관계자 동원 정책 제정 및 구현 등의 단계로 구성됩니다. 정책 창조자는 다양한 전략과 기술을 사용하여 정책 변화를 이루어냅니다.
3) 이해관계자 동원 (Stakeholder Mobilization):
이해관계자 동원은 정책 창조자가 다른 이해관계자들을 참여시키고 정책 변화를 위한 지원을 유도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정책 창조자는 이해관계자들을 설득하고 동기를 부여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지원하도록 유도합니다.
4) 변화적 정치 (Entrepreneurial Politics):
변화적 정치는 정책 창조자가 현재의 정치적, 기관적, 사회적 상황을 이용하여 정책 변화를 추진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정책 창조자는 정치적 기회와 유관한 이슈를 이용하여 정책 아이디어를 홍보하고 적절한 시기에 정책 제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정책 창조 이론은 정책과정에서 개인이나 단체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정책 제정에 반영하는 역할을 강조합니다. 이론은 정책 창조자의 역할과 행동을 이해하고, 정책 창조자와 이해관계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합니다. 정책 창조 이론은 정부 외부에서 비정부 조직, 전문가, 시민 사회 조직 등이 정책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는 데에 기여합니다.
2. 정책변화 이론 (Policy Change Theory):
정책변화 이론은 정책의 변화와 진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접근법입니다. 이론은 정책의 변화 요인을 탐구하고, 정책이 변경되는 프로세스와 그 영향을 분석합니다.
정책변화 이론 (Policy Change Theory):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시기와 연구를 통해 발전하였으며, Paul A. Sabatier, John W. Kingdon, Frank R. Baumgartner, Bryan D. Jones 등의 연구자들이 중요한 기여를 하였습니다.
정책변화 이론은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정책 변화의 복잡성을 이해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정부나 기관이 정책을 개발하고 구현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각 이론은 정책과정의 특정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해관계자들의 역할, 관계, 권력 구조, 정책 변화 등을 해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론들은 실제 정책 과정에서의 이해력과 예측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정책변화 이론은 정책의 변화와 진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접근법입니다. 이 이론은 정책이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하는지, 그리고 정책변화의 요인과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정책변화 이론은 다음과 같은 주요 개념과 원리를 강조합니다:
1) 정책변화의 요인 (Factors of Policy Change):
정책변화 이론은 정책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들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요인은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등 다양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적 요구의 변화, 정치적 환경의 변화, 기술의 발전 등은 정책 변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 정책변화의 과정 (Process of Policy Change):
정책변화 이론은 정책의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설명합니다. 정책 변화는 일련의 단계를 거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정책의 수요와 공급,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 정치적 의사결정과정 등을 포함합니다. 이론은 정책의 변화가 점진적인지 혹은 급격한 변화인지에 따라 다양한 변화 과정을 분석합니다.
3) 경로 의존성 (Path Dependency):
경로 의존성은 정책 변화가 과거의 결정과 경로에 의해 영향을 받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론은 정책의 초기 결정과 이후의 정책 선택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는 경로에 따라 정책 변화가 형성된다고 주장합니다. 경로 의존성은 정책이 특정 방향으로 계속되거나 변경되는 경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4) 정책변화의 결과 (Outcomes of Policy Change):
정책변화 이론은 정책 변화의 결과를 탐구합니다. 이는 정책의 효과성, 효율성, 혁신성 등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정책변화의 결과는 정책 목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를 평가함으로써 정책의 품질과 성과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책변화 이론은 정책의 변화와 진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책변화의 원인과 과정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론은 정책의 변화가 사회, 정치, 경제적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 결과라고 이해하며, 경로 의존성과 변화의 결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책변화 이론은 정부와 이해관계자들이 정책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행정학의 이론과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정 경제학 세금 정책과 공공 지출 내용 이해 (0) | 2023.07.19 |
---|---|
허버트 사이먼의 주요 이론 (0) | 2023.07.17 |
정책과정, 정책주도모형과 정책 네트워크 이론 (0) | 2023.07.15 |
정책결정모형 이론과 구성요소 (0) | 2023.07.14 |
인적자원관리 이론들과 현대 보완 이론 (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