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모의계산,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가 어떤 것이고 누가 받을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실제 어느 정도 받을 수 있는 것인지 실업급여 모의계산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고용보험 실업급여의 의미
실업급여란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실직을 하게 된 경우, 재취업을 하는 기간에 최소한의 생계 안정을 돕기 위한 제도입니다
실업급여에는 크게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구직급여는 재취업 활동을 하는 정해진 수급 기간 동안에 지급되는 것이고,
취업촉진수당은 소정급여일수를 절반 이상 남겨두고 재취업을 했을 때 인센티브의 성격으로 잔여 구직급여 수급액의 일정액을 인센티브로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조기 재취업수당).
2. 실업급여 조건, 지급대상
실업급여는 그 제도의 취지가 실직에 대한 위로금이나, 고용보험을 납부한 것에 대한 보상이라기보다 재취업을 준비를 돕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실업급여 중 구직급여는 퇴직하게 된 다음날에서부터 12개월이 지나면 소정 급여일수가 남아있더라도 지급이 되지 않습니다.
실업급여 신청 없이 재취업을 하면 지급받을 수 없기 때문에 퇴직 즉시 신청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급대상
1) 고용보험에 가입된 사업장에서 실직 전 180일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2) 비자발적인 사유로 실직한 것이어야 합니다, 권고사직이나 고용기간 만료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3. 실업급여 모의계산, 구직 급여액
구직급여액
구직급여 지급액 =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 x 소정급여일수
하지만 상한액과 하한액이 있기 때문에 이직 전 평균 금액이 너무 많거나 너무 적더라도 구직급여액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상한액: 이직일이 2019년 1일 이후 경우 1일당 66,000원
하한액: 퇴직 당시 최저임금법상 시간급 최저임금의 80% x 1일 소정근로시간(8시간)
2023년 1월 이후는 하한액이 61,568원입니다
고용보험 사이트에 접속하면 우측에 실업급여 간편 모의계산을 바로 해볼 수 있습니다
그 우측에 보시면 상세 모의계산도 원할 경우 해볼 수 있습니다
4. 구직급여 소정급여일수
실업급여(구직급여)를 어느 기간 동안 받을 수 있을까요?
그것은 연령과 가입기간에 따라서 아래 표와 같이 차이가 있습니다.
5. 구직급여 지급절차
다음음 실업급여를 신청하는 절차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나씩 단계별로 실행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실업급여 조건, 실업급여 모의계산을 어떻게 해볼 수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성숙하고 더 발전된 미래를 위한 준비기간이 되시기 바랍니다.
2023.07.27 - [분류 전체보기] - 실업급여 받으며 알바 해도 되는가?
실업급여 받으며 알바 해도 되는가?
실업급여받으며 알바 해도 되는가? 1. 실업급여란? 실업급여란 자의가 아닌 사유로 권고사직이나 고용종료 등의 이유로 다니던 직장을 더 이상 다닐 수 없게 되었을 때 그동안 납부한 고용보험
joseph6256.tistory.com
'행정학의 이론과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수령나이, 조기수령, 연기 한번에 알아보기 (0) | 2023.07.30 |
---|---|
국민연금 조기수령 쉽게 알아보기 (0) | 2023.07.29 |
행정적 정의와 사회적 공평성 (0) | 2023.07.20 |
재정 경제학 세금 정책과 공공 지출 내용 이해 (0) | 2023.07.19 |
허버트 사이먼의 주요 이론 (0) | 2023.07.17 |